Body
The US is not the only country in the midst of a presidential election. In an earlier post, I reprinted some snippets of Ahn Cheol-soo’s musings on North Korea taken from his book. Opposition rival Moon Jae-in has made a major policy speech on North Korea; Karin Lee at the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kindly passed it along and our colleague Ryu Jaesung has done an English translation. In the speech, Moon makes several sweeping proposals, including for a “South-North Economic Union,” which, if I read the speech correctly, is not technically an economic union, but rather a free trade area. Within the context of this integration scheme, he then pledges to reinvigorate now dormant integration initiatives along both the East and West Sea borders and initiate others, extend this process internationally, specifically mentioning the Russian gas pipeline project, lastly, proposing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Peninsula Infrastructure Development Organization (KIDO), which would involve participation by both private sector actors as well as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ug 17, 2012
Moon Jae-in's initiative for 'South-North Economic Union' [press release]
The Korean Peninsula is facing a new era. China has grown to be a G2 country, and the United States is claiming a foreign policy emphasizing Asia. The new leadership has emerged in North Korea. The global economic crisis still continues, starting from the 2008 financial crisis in the United States to the fiscal crises in Europe.
Today, we are going through the dead center of a turbulent historical period. The Korean Peninsula is standing at an important crossroads, between being at the forefront of a new Cold War confrontation and being at the epicenter of a new order of peace, cooperation, and growth.
The Kim Jung-eun regime is showing a different image compared to the past. North Korea’s leadership style as well as something in the power group is changing, and signs of change in the regime’s economic policy are being observ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showing attention to this change and seeking how to set up a new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But what are we doing now? The Lee Myung-bak government is ignoring this huge historical movement and wasting time at this important moment of transformation. While Lee’s administration has destroyed relations with North Korea by consistent inaction, North Korea’s relations with China have been strengthened.
A new Cold War confrontation in Northeast Asia may be revived if our influence on North Korea and the fate of the Korean peninsula grows weaker. The division o fNorth Korea and South Korea could set in for eternity if we keep on watching the situation phlegmatically.
It is time to restore inter-Korean relations and build a new strategy for the future.
We need to pioneer a new peaceful future for the Korean Peninsula by studying all the clues of big and small changes which are going on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surroundings.
I will end the Korean Peninsula’s tragic history of confrontation and distrust. In order to open an era of peace, reunification, and prosperity,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and develop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and the October 4 Declaration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We should help North Korea’s new leadership to change positively, and achieve inter-Korean collaborative growth by becoming a more mature promoter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 will carry out the following things to do so.
First I will open an era of 'South-North Economic Union' that can achieve cooperative growth between South and North.
We have put effort into developing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to form an economic union through the consensus process of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and the October 4 Declaration. Detailed regulations were agreed upon through the ‘Four Agreements for Economic Cooperation’ which followed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and South and North Korea agreed to create a Joint Committee o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t the deputy prime minister level in the October 4 Declaration.
If I become the president, I will restore this Joint Committee o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o ensure free and secure investment and economic activity and sign an ‘Inter-Korean Comprehensive Economic Agreement’ to gain international recognition of duty-free trade and protection of investment between the two Koreas.
In doing so, I will lay down a socio-economic foundation stone towards the path of unification in accordance to the common unification plan which was agreed upon in the June 15 Joint Declaration. The ‘South-North Economic Union’ is in fact a plan to move towards unification in the economic sector first.
Our economy has encountered a limit of its growth, and we need a new growth engine. North Korea is a land of opportunity for us and South Korea is also a land of opportunity for North Korea.
Through the ‘South-North Economic Union,’ South Korea’s per capita income will rise to $30,000 with a common market in the Korean Peninsula with a population of 80 million, entering the ’30-80 era’ that only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reached. We can create a peaceful Korean Peninsula by growing together with North Korea.
Second, I will establish a five-year plan for the 'South-North Economic Union', and will make sure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implement it together.
During my five year term, we can create endless opportunities. I will establish a five-year plan for the 'South-North Economic Union' and I will discuss it with North Korea as they are being implemented.
South and North Korea have once agreed upon 48 common projects, following the October 4 declaration. Among these projects I will prioritize those that can bring about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nomic linkage effects of the South-North economy and include them in this five-year plan.
The common economic sphere of the Korean Peninsula will become a stepping stone that will let us advance Northward via the West Sea rim and the East Sea rim.
The East Sea rim, which runs from Busan to Ulsan, Pohang, Samcheok, Donghae, to North Korea’s Eastern Seaboard of Rajin-Sunbong and to China and Russia, is a huge connection of industrial economies. Especially, this area will develop as an eco-friendly international tourist zone which connects Mount Seorak, Pyeongchang, the Demilitarized Zone and Mount Kumgang in North Korea. We should resume the Mt. Kumgang tours and invigorate the local economy.
The West Sea rim is a vast economic region which ties the western Korean Peninsula, including Jeju, Jeolla, Chungcheong, Incheon, Gyeonggi, Nampo, Hwanggumpyong, and Sinuiju, with eastern China. Right in the middle of this area there is the Incheon-Kaesong –Haeju triangle and I will promote this triangle area as a common Free Economic Zone of South-North Korea.
I will lift the May 24 measures and expand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s planned to provide new homes for small businesses.
To do this, the West Sea should first be transformed into a sea of peace from today’s sea of conflict. The starting point is resuming inter-Korean dialogue to create a ‘West Sea Peace and Cooperation Special Zone’ which was promised at the October 4 Declaration.
Third, I will promote the formation of a ‘Northeast Asia Cooperation Growth Belt’ under a market with a population of 600 million.
There is a huge market, including a population of 600 million, around the East Sea and We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ea has a great potential to become a large ‘Northeast Asia Cooperative Growth Belt.’
Northeast Asiais receiving attention as a dynamic region of global growth and a hub of trade, resources, and energy. An ‘Asia Super Grid Project’ which connects Northeast Asia’s power grid with eco-friendly renewable energy can be realized, and a Russian natural gas pipe line can be connected to various areas in the region.
A Northeast Asia economic bloc which includes the Korean Peninsula, China, Russia, and Japan is both an opportunity and a challenge. South and North Korea’s relationship has to be stable and a South-North Economic Union has to be created for this region to develop into a cooperative growth belt.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change the DMZ from a scen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into a starting point for peace and prosperity. It will be the sixtieth anniversary of the creation of DMZ next year. This area is a rich repository of the world’s ecology. We need to open inter-Korean military talks to move back the guard towers and heavy weapons to rear lines and remove anti-personnel mines in order to use the DMZ in a peaceful way. By making the DMZ into a truly de-militarized area, we must change this place into a world-class ecological and peace tour zone and a foothold for cooperative growth of Northeast Asia.
Fourth, I will establish a ‘Korean Peninsula Infrastructure Development Organization’ to build an industrial foundation for North Korea.
Infrastructure development is now rising as an investment industry itself, because investors can get returns on their investments through long-term license fees and other development rights.
North Korea’s weak infrastructure needs to improve if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want to grow together. We need to invest in North Korea to gain a foothold in the Northern continent as well. However, the scale is too massive for us to do it alone and we shouldn’t do it alone. It is desirable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joins in this investment to ensure its scale and stability.
I will als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Peninsula Infrastructure Development Organization (KIDO) with the participation of our private sector companies as well as companies from othe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f we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vest in North Korea together and deepen our linkages with the North Korean economy, then the two Korea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form a complex economic network. This will bring economic growth to the Korean Peninsula and improve the peaceful relationship.
Fifth, I will faithfully play an international role as a peace leading country.
There will be four new leaders in North Korea, South Korea, America, and China this year. I will put all my efforts into resuming the Six-Party Talks for denuclearization with this new leadership.
Establishing a peace regime is also urgent. It will be the sixtie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next year. I will hold a four country forum to discuss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as soon as possible. I will also replace the Armistice Agreement with a peace treaty and actively support international efforts to normalize North Korea’s relations with the U.S. and Japan.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and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should be addressed together so that there will be security, cooperation, and growth at the same time. We must become an active ‘peace facilitator’ so that the Korean peninsula does not remain as a place for South-North, U.S.-North and U.S.-China conflicts but becomes a place for peace and prosperity.
My fellow citizens,
Over the last five years,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ave collapsed. Peace has disappeared and the possibility of war has threatened our life. The old ghost of the cold war has come back to life.
In 1989, President Bush of the United States and General Secretary Gorbachev declared that the cold war has ended in Malta, an island country of the Mediterranean. This declaration resulted in the end of ‘war without gunshot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East and West Germany achieved reunification. The end of the cold war in world history that was promised in Malta will be complete here in the Korean peninsula.
We don’t have much time. We have a long way to go.
Right after my inauguration, I will revitalize inter-Korean relations and bring about the inter-Korean Summit around the coming June 15th next year. There, I will discuss the nuclear issue,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cooperative growth, and Northeast Asian joint prosperity to make big strides.
Furthermore I will wipe the tears of our separated families and the pain and torment caused by the division.
My dream is to see a prosperous Korean Peninsula with both South and North Koreans living well and traveling freely. We need to stop passing down the division, and let the next generation inherit a unified Korean Peninsula.
Thank you.
[보도자료] ‘남북 경제연합’을 위한 문재인의 구상
‘남북 경제연합’을 위한 문재인의 구상
2012.08.17
한반도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G2국가로 성장했고, 미국은 아시아를 중시하는 정책기조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북한에는 새 지도부가 등장했습니다. 2008년 미국에서 시작한 금융위기 이후 유럽의 재정위기까지 불거지면서 세계정제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역사적 격동의 한가운데를 지나고 있습니다. 한반도가 신냉전 대결구도의 최전선이 될 것인지, 아니면 평화와 협력과 성장의 새 질서를 만드는 진원지가 될 것인지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는 것입니다.
북한의 김정은 체제는 과거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고지도자의 통치스타일 뿐 아니라 권력 내부에 뭔가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경제 분야에서도 정책 변화의 조짐들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이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북한과의 새로운 관계설정에 대한 탐색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린 지금 뭘 하고 있습니까? 이 중요한 전환의 시기에 이명박 정부는 거대한 역사적 흐름을 외면한 채 세월을 허송하고 있습니다. 북한에 대해 무대책 무대응으로 일관하면서 남북관계를 파탄시키는 사이에 북한의 대중국 접근은 더욱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대로 북한과 한반도의 운명에 대한 우리의 영향력이 계속 약화된다면 동북아에서 신냉전 대결구도가 되살아날 수도 있습니다. 이미 장기화된 남북의 분단 상태를 무기력하게 지켜보기만 한다면 자칫 대물림된 분단은 영구히 고착될 우려마저 없지 않습니다.
남북관계를 복원하고 우리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전략을 가다듬어야할 때입니다. 지금이라도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벌어지고 있는 거대한 변화와 작은 변화의 실마리들을 모두 살펴 새로운 한반도의 평화로운 미래를 개척해 나가야 합니다.
저는 반드시 대결과 불신의 ‘슬픈 한반도’의 역사를 종식시키겠습니다. 평화와 통일, 그리고 번영의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이행하고 발전시켜서 남북관계를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북한의 새 정권이 긍정적으로 변하도록 우리가 돕고, 우리도 보다 성숙한 한반도 평화의 촉진자가 돼서 남과 북이 협력적으로 성장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일들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첫째, 남북이 협력적 성장을 이루는 ‘남북 경제연합’ 시대를 열겠습니다.
우리는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의 합의 과정을 통해 남북이 경제연합의 단계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6.15 공동선언 이후에는 ‘경제협력 4대 합의서’를 통해서 세부 규정을 만들었고, 10.4 선언에서는 부총리급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 설치를 합의하였습니다.
제가 대통령이 되면 ‘남북경제협력공동위원회’를 다시 가동해 자유롭고 안전한 투자와 경제활동을 보장하고, 남북간의 무관세 거래와 투자 보호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하는 ‘남북간 포괄적인 경제협약’을 체결하겠습니다.
이렇게 해서 6.15 선언에 합의한 남북공통의 통일방안에 따라 통일의 길로 나가는 사회경제적 초석을 놓겠습니다. ‘남북경제연합’은 경제 분야에서 먼저 사실상의 통일로 나가겠다는 구상입니다.
우리 경제는 지금 성장의 한계에 부닥치며 새로운 성장 동력을 필요로 합니다. 북한은 우리에게 기회의 땅입니다. 그리고 남한도 북한에게 기회의 땅입니다.
‘남북경제연합’을 통해 우리 대한민국은 1인당 3만 달러의 국민소득을 올리고, 인구 8천만의 한반도 공동시장을 갖추어서 세계에서 미국, 독일, 일본 3개국만 도달한 ‘30-80시대’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북한도 함께 성장하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둘째, ‘남북경제연합’을 위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남과 북이 함께 이행해 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임기 5년 동안 우리는 무궁무진한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저는 ‘남북 경제연합’을 위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겠습니다. 그리고 북한과 협의해 실행에 옮겨 나가겠습니다.
10.4 정상선언에서 남과 북은 48개 공동사업에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 중 남북한 경제에 전후방 연계효과가 높은 사업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5개년 계획에 포함시킬 것입니다.
한반도 공동경제권은 우리의 환서해권과 환동해권을 양날개로 해서 북방대륙으로 진출하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부산에서 시작되는 환동해권은 울산, 포항, 삼척, 동해와 나진선봉 등 북한의 동해안을 거쳐 중국, 러시아까지 연결되는 거대한 산업경제권입니다. 특히 이 지역은 설악산-평창-비무장지대(DMZ)-북한 금강산을 연결하는 친환경 국제관광지대로 발전될 것입니다. 중단된 금강산관광을 재개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환서해경제권은 제주에서 전라, 충청, 인천, 경기와 북한 해주, 남포, 황금평, 신의주 등 한반도 서부지역과 중국 동부지역이 하나로 묶이는 광역경제권입니다. 그 중심에 있는 인천-개성공단-해주 삼각지대를 남북공동의 경제자유구역으로 추진하겠습니다.
5.24 조치를 해제하고 개성공단도 계획대로 확장해서 중소기업에게 새 둥지를 제공하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서해를 분쟁의 바다에서 평화의 바다로 되돌려야합니다. 그 출발은 10.4 선언에서 약속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를 만들기 위해 남북대화를 재개하는 것입니다.
셋째, 인구 6억명 시장의 ‘동북아협력성장벨트’ 형성을 촉진하겠습니다.
한반도의 동해와 서해, 그리고 주변에는 인구 6억명의 초대형 시장이 있습니다. 이곳은 거대한 ‘동북아협력성장벨트’가 만들어 질 수 있는 커다란 가능성을 가진 지역입니다.
동북아는 세계성장의 새로운 진원지로서 물류와 자원, 에너지의 중심지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러시아 천연가스관이 역내 여러 곳으로 연결 되고,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를 동북아 전력망으로 연결하는 ‘아시아 수퍼그리드 사업’도 실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반도와 중국, 러시아, 일본이 포함되는 동북아 경제권은 기회인 동시에 각국의 이해가 상충되는 갈등의 집합지이기도 합니다. 이곳이 협력적 성장벨트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가 안정되고 남북경제연합이 형성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한반도내에서 첨예한 갈등과 대립의 현장인 비무장지대(DMZ)를 역내 평화와 번영의 출발점으로 변화시키는 일도 대단히 중요합니다. 내년이면 DMZ 설치 60년이 됩니다. 이곳은 세계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DMZ를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남북군사회담을 열어서 남북 상호간에 감시초소(GP)와 중화기를 후방으로 이동하고 대인지뢰도 제거해야 합니다. 그래서 DMZ를 실질적으로 비무장화하여 세계적 생태관광, 평화관광의 명소, 그리고 남북한을 넘어 동북아가 협력성장하는 거점으로 만들어 나가야합니다.
넷째, 북한의 산업기반 구축을 위해 ‘한반도인프라개발기구’를 만들겠습니다.
인프라 개발은 그 자체가 투자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투자자는 장기사용권과 사용료, 여타 개발권 등 사업권으로 투자를 환수하며 서로 이익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반도와 동북아가 협력성장하려면 북한의 취약한 인프라가 시급히 개선돼야 합니다. 우리가 북방대륙으로 진출하는 발판을 다지기 위해서도 북한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규모가 방대해 우리 혼자의 힘으로는 할 수도 없고, 또 그렇게 해서도 안 됩니다. 투자규모와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사회와 함께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우리와 각국의 민간기업, 국제금융기관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한반도인프라개발기구’(KIDO) 설립을 추진하겠습니다.
우리와 국제사회가 함께 북한에 투자하여 북한 경제와 연계가 깊어지면 남, 북, 국제사회가 경제적으로 서로 얽히는 복합적인 경제그물망이 형성될 것입니다. 이것은 한반도에 경제성장은 물론 평화의 여건까지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다섯째, 평화선도국가로서의 국제적 역할을 충실히 해나가겠습니다. 올해는 남북미중 4개국에서 모두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합니다. 새로운 리더십과 협력해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이 실질적인 핵문제 해결의 창구로 상시 가동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평화체제 구축도 시급합니다. 내년이면 정전협정 체결 60주년입니다. 6자회담 9.19공동선언에서 합의한 대로 한반도 평화체제를 논의하기 위한 4개국 포럼을 빠른 시일 내에 개최하겠습니다.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고, 북미관계와 북일관계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국제적인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그리고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동시에 추진해 한반도에 안보와 협력, 성장이 선순환하도록 해야 합니다. 한반도가 남북한과 미-북, 미-중의 갈등의 장이 아니라 평화와 번영의 장이 되도록 우리는 적극적인 ‘평화 촉진자’의 역할을 반드시 해내야 합니다.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지난 5년 동안 남북관계는 붕괴되었습니다. 평화는 사라지고 전쟁의 포성이 우리의 일상을 위협하기도 했습니다. 냉전의 망령이 되살아났습니다.
1989년 부시 미국 대통령과 고르바쵸프 소련 공산당서기장은 지중해의 섬나라 몰타에서 냉전 종식을 선언했습니다. 몰타선언으로 동서 양진영의 ‘총성 없는 전쟁체제’는 사라졌고 동서독은 통일되었습니다. 이제 몰타에서 약속한 세계사의 냉전 종식은 한반도에서 마무리될 것입니다.
시간이 없습니다. 갈 길이 멉니다. 취임 즉시 남북관계를 되살리고 내년 6.15를 기해 남북정상회담을 열겠습니다. 핵문제 해결, 한반도 평화, 협력성장, 동북아 공동번영 문제를 논의하고 큰 걸음을 내딛겠습니다.
아울러 분단으로 인한 아픔과 고통, 이산가족의 눈물도 씻어드리겠습니다.
저의 꿈은 남북이 함께 잘 살고 자유로이 왕래하는 풍요로운 한반도를 보는 것입니다. 분단의 대물림을 끊고 다음 세대에게 통일된 한반도를 물려주어야 합니다.
문재인은 그 길에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을 국민 여러분께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질의응답
○ 월스트리트저널 (WSJ) : 남한 사람들에게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사건을 먼저 설명을 해야 할 것 같다. 대통령이 된다면 이들 사건에 대해 국민들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무력 충돌에 대한 국민의 이해)
● 문재인 후보 : 연평도, 천안함 사건으로 인해서 우리의 아까운 목숨들이 희생됐다. 먼저 그 유가족 분들께 위로의 말씀 드린다. 우선 천안함 침몰에 대해서는, 국방부의 판단을 존중한다. 그러나 정부의 조사결과에 대해서 많은 전문가들이 의심을 제기하고 있고 많은 국민들이 정부의 발표를 그대로 믿지 못하겠다는 불신을 표하고 있다.
국민들이 제기하는 합리적 의심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에 의한 제대로 된 설명이 필요하다. 필요하면 조사 결과도 제대로 공개하고 또 필요하다면 부분적인 추가적인 조사도 할 수 있어야 한다.
연평도 포격은 명백한 북한의 도발이다. 이런 일들이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된다. 문제는 이런 북한의 도발을 우리가 단호한 의지로 막아야 하지만, 한편으로는 남북 간의, 특히 서해안 지역에서 끊임없이 있을 수 있는 우발적인 충돌까지도 완벽하게 막아낼 수 있는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10․4 공동선언에서 서해 평화지대를 선포하고, 서해안을 특별 협력지대로 구상하고 나아가서는 공동어로 지역으로 설정한 것은 서해안에서 늘 있을 수 있는 그런 우발적 충돌의 가능성조차도 제로(0)화 하자는 뜻이었다.
정권교체를 한다면 천안함, 연평도, 이런 사건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근본적인 남북 간의 확고한 평화조치를 강구해 나가겠다는 약속의 말씀을 드린다.
○ 로이터 통신 : 문재인 후보의 경제 구상이 북한에 대한 무조건적인 경제 지원이 아닌가? 그게 과연 적절한 것인가? 문 후보의 경제 구상이 박근혜 후보의 신뢰 정치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 문재인 후보 : 이명박 정부의 북한에 대한 아주 대결적이고 적대적인 대북한정책을 전면적으로, 근본적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제가 대통령에 취임하면 6.15선언, 10.4공동선언을 남북이 공동으로 실천하고 이행해 나가는 그 정신으로 즉각 되돌아가겠다. 그렇게 북한과 협의하고 합의해 나가겠다.
박근혜 후보의 대북정책은 제가 깊이 있게 알지 못한다. 그러나 역대 대대로 새누리당 정책은 북한과 대결적인 그런 정책을 취해왔다. 박근혜 후보의 대북정책도 그 연장선 위에 놓여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정책은 남북관계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북한을 변화시키지 못하고, 북핵 문제를 해결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보에도 유능하지 못하다는 것이 이명박 정부 시절에 드러났다. 다시 한 번 상기 시키자면 참여정부 동안 남북한은 단 한 건의 군사적 충돌도 없었다. 단 한 사람의 우리 국민이 그 충돌로 희생된 예가 없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서 아까 질문하신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 등으로 인해서 많은 아까운 젊은 목숨들이 희생당했다. 남북관계를 완전히 파탄, 전쟁 일보 직전까지 파탄시킨 건 말할 것도 없고 안보에서도 철저하게 무능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새누리당의 대북정책으로는 남북관계를 한 걸음이라도 발전시킬 수 없다.
○ 르 피가로 : 최근에 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상황에서 중국의 한반도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 있는데,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통일정책을 세워 나갈 것인지? 중국과 북한이 경제연합을 구체화하기 전에 한국이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어느 기간에 이루어나갈 수 있을지?
● 문재인 후보 : 지금 북한에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했다. 우리가 새로운 지도자에 대해서 잘 알지는 못 한다. 그러나 최근의 행보를 보면 어떤 정치나 정책에서 공개성, 투명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이고 실용주의적인 측면도 강화되어 가는 듯이 보인다. 국제사회의 시선을 많이 의식하고 있고 국제사회에 좋은 이미지를 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람직한 변화라 본다.
한편으로 장성택의 중국방문을 보면 북한이 경제발전을 위해서 중국의 경제 발전 경험을 배우려 하고, 해외투자를 유치하려고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경제발전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런 점에서 제가 남북한경제연합을 주장하는 저의 대북정책과 맞닿아있다. 북한의 필요에도 부응하는 그런 정책이다.
말씀대로 중국은 한국과의 관계가 아주 파탄이 나면서 경제 협력, 경제 발전의 파트너를 북한으로 삼고 있다. 북한이 중국을 통해서 경제 발전을 이뤄 나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중국의 대한 의존성이 강화된다면 그것은 장기적으로 볼 때 남북 관계발전에 크게 바람직하지 않다. 역시 중심은 남북한의 경제협력이 더 강화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남한은 남한대로 남북 간의 경제협력을 통해서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을 얻고 북한은 북한대로 북한 경제 발전의 모멘텀을, 지원을 남쪽에서 얻을 수 있다.
남북경제연합이 어느 시기에 가능하냐고 말씀하셨는데, 노태우 정부 시절의 남북기본합의서, 6.15 공동선언, 10.4 공동선언 등에 이미 남북 간에 경제협력을 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이미 합의 되어 있다. 특히 10.4 공동선언에는 여러 가지 수많은 남북 간의 경제협력 사업에 대한 합의가 포함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합의를 이행해 나갈 수 있도록 남북경제협력 특별위원회를 설치해서 가동할 수 있게끔 그 틀까지 만들어 두었다. 그런 부분들만 제대로 실천해간다면 빠른 시일 내에 남북경제연합에 닿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는 남북경제연합이라는 제 정책이 결코 허황된, 그리고 먼 미래의 꿈이 아니라는 걸 보여드리기 위해 아까 후보가 되는 순간부터 실천하겠다고 말씀드렸다. 후보시절, 당선자 시절, 대통령 취임하고 난 이후에 연차별 계획을 세워나가겠다. 남북경제연합을 이룰 수 있는 5개년 계획을 수립해서 매년 그 계획에 따라 진도를 낼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오늘의 제 발표 내용도 거기에 맞춰져 있다.
○ 뉴스원 김승섭 기자 : 세 번째(동북아 허브국가), 네 번째(동북아 개발은행) 구상은 2002년도 경선 당시 노무현 후보가 구상한 동북아 허브 구상, 동북아 개발은행과 비슷한 것 같다. 십년 전과 지금 달라진 점은?
● 문재인 후보 : 동북아 허브 국가라는 것은 일종의 동북아 경제공동체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북방경제를 추구하고 그 중심역할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 동북아 공동체도 남북 간의 경제협력이 선행돼야만 가능하다. 동북아 협력성장벨트는 동북아 경제공동체로 가기 위한 구체적인 플랜을 담고 있다.
대륙철도 연결, 러시아 가스관 연결, 아시아 슈퍼브리드 구상뿐만 아니고 북한의 개성과 해주, 우리의 인천을 연결하는 그 삼각벨트를 서해안 남북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서 그것을 동북아 성장벨트의 중심으로 삼으려는 구상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구체적 계획이다. 다시 말씀드리면 동북아 허브국가 구상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심화된 정책 구상이다.
네 번째 동북아 개발은행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그런 개발은행이다. 아시아 은행이 별도로 있는 상황에서는 그것이 활성화되기 어렵고, 실효성 있게 운영되기 어렵다. 이미 세계은행이 있고 IMF 체제가 있는 상황에서 지역단위 개발은행을 만들어내는 것은 역할의 충돌만 야기되고 여러 가지 실효성을 얻기 어렵다. 제가 말씀드리는 한반도 인프라 개발 기구는 그런 차원이 아니고 북한의 개발, 북한에 대한 투자 이것을 특정한 목적으로 해서 국제적인 협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국제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게 하는 구상이다. 저희가 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했다고 자부한다.
○ AFP : 북한의 핵문제와 남북경협 문제를 연관 시키지 않겠다는 것인가? 북핵문제와 관계없이 남북경협은 진전되어야 한다는 것인지? 외신이라서 그러는데, ‘사람이 먼저다’ 슬로건에 대한 설명을 좀 부탁드린다.
● 문재인 후보 : 북핵문제와 경협을 연계시키지 않겠다는 차원이 아니라, 함께 해결해가겠다는 것이다. 함께 추진해야 그 해결이 가능하다는 차원이다. 참여정부 시절을 되돌아보면 우리가 북핵문제를 6자회담이라는 다자외교를 통해 접근했고 해결할 수 있었다. 6자회담을 통해 북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폐기, 그와 함께 북미, 북일 관계 정상화, 한반도 평화체제라는 포괄적인 합의를 했고, 실제로 북한의 냉각탑 폭파까지 이루었 냈다. 이명박 정부의 파탄이 없었다면 굉장히 많은 진도를 이끌어 내서 북핵문제는 거의 해결단계까지 갔었을 것이다. 그때도 북핵문제 해결만 먼저 앞세우고 다른 남북관계 발전을 미뤄놓고 있었던 것이 아니다. 한편으로는 6자회담 통해 북핵문제 해결을 추진했고, 또 한편으로는 전방위적으로 북한과의 관계 개선 노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그런 외교적 노력을 통해서 북핵문제 해결이 가능했던 것이다. 북핵문제 해결과 경제협력은 함께 가고 서로 촉진하는 관계에 있다는 말씀 드린다.
‘사람이 먼저다’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사람이 가장 소중하다. 사람은 사람 자체로서 평가받아야 하는데 우리 사회는 집안, 재산, 배경, 학력, 학벌, 출신지역으로 평가한다. 지방출신, 비명문대 출신이라는 이유로 불공평을 겪는다. 같은 출발선에 서지 못하는 불공평한 사회가 되었다. 사람을 중심으로 평가되고 존중받는 세상이 되어야 한다.
우리가 지금 세계10위 경제대국이 됐는데 그 성장의 혜택이 재벌과 대기업에 편중돼 서민, 중산층은 더욱 더 살기 어려워졌다. 경제 정책도 중산층, 서민들의 소득을 높이고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사람중심의 성장 정책을 펴자는 것이다.
하나 더 말씀드리면 5년 전에는 이명박 후보가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경제를 살리면 좋은 것 아니냐는 판단 기준으로 많이들 투표에 임했다. 그런데 지금 어떻게 되었나? 국정 전반이 파탄나지 않았나. 대통령 측근비리, 권력형 비리가 사상 유래 없이 많아졌다. 권력을 사유화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면 경제, 안보 이런 것은 제대로 했나? 경제성장률도, 주가 지수도 모든 항목에서 참여정부보다 못하다. 안보도 참여정부보다 무능하고 관계 자체가 파탄이 났다. 이제는 747 같은 구호에 속아서는 안 된다. 사람을 중심으로, 사람을 놓고 지도자를 판단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의미까지 담겨 있다.
○ 동아일보 : 남북경제연합 구상에 앞서, 파탄 난 남북관계에서 박왕자 씨 피살사건이나 연평도 문제에 관해서 북한의 사과가 먼저라는 생각은 안 하시는지? 북한과의 관계에서 협상 파트너로서 김정은에 대한 평가는? 민주당 경선이 흥행이 안 된다. 안철수 때문에 2부 리그라는 말까지 있다. 흥행을 하기 위한 복안이 있으신지?
● 문재인 후보 : 우리가 북한 문제를 해결하고 남북관계를 발전시키려면 포괄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북핵문제 먼저 해결돼야만 북한하고 접촉하겠다, 또 천안함, 연평도 사건에 대해서 먼저 사과해야만 인도주의적인 지원이라도 하겠다는 태도를 취하면 거기에 갇혀서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한다. 우리가 북한과 관계를 개선해 나가면 북한이 잘못한 일에 대해서 자연히 사과하게 된다.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중단된 금강산관광이 중단됐지만, 북한이 직간접적으로 유감 표명과 함께 재발방지 약속들을 했다. 그것을 공식적인 정부당국자의 공개적인 표현으로 하라는 전제조건을 제시해서 지금까지 금강산관광이 중단 돼 있다. 참여정부 때 연간 30만 명 규모의 활발한 금강산 관광이 진행되었을 때 우리 경제, 안보에 얼마나 큰 도움을 주었나를 생각해 보라. 강원도 지역경제에 큰 도움을 줬다. 그게 중단되면서 우리 경제에 미친 악영향과 강원도 지역 경제를 피폐하게 만들어 버린 것이 얼마나 안타깝나. 천안함, 연평도 사건, 북한 핵문제 해결까지 포함해서 남북관계를 전반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면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고 그렇게 접근해야 효율적이라 생각한다.
민주통합당 경선은 올림픽 끝나고 점점 관심을 끌고 있는데, 점점 흥행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민주통합당이 예비경선에서 새로워진 모습 보이지 못하고 과거와 같은 모습을 보여 국민의 관심 끌지 못 했다. 그런 점을 우리가 함께 성찰하며 변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국민들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저도 명동에 직접 나가 호소하기도 했고 다른 후보님들도 그런 노력을 할 것이고 당도 그런 노력들을 할 것이다. 민주통합당의 경선이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충분히 흥행을 거두고 붐을 일으킬 것이라 저는 믿는다.
○ 한국경제 : 남북경제연합에 대한 재원 계획은 세우셨는지? 남북경제연합이 한일, 한중 관계에 미칠 영향까지도 생각하신 것이 있는지?
● 문재인 후보 : 남북경제연합에 대해서 5개년 계획이라는 이름하에 연도별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이미 대략은 세워져 있다. 앞으로 후보가 되어 대북정책에 대해 종합적인 발표를 할 때 구체적인 계획까지 말씀드릴 것이다. 개요만 말씀드리면 후보 시절부터 실행해 나갈 것이다.
당선이 되면 당선자 시절부터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착수할 것이다. 취임 첫 해 6.15 기념일 즈음에 남북정상회담을 열고, 내년도 정전협정 60주년 즈음에는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면서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고, 적당한 시기에는 중국과 대만처럼 남북 간 포괄적 경제협정을 체결하면 남북경제 공동체의 시대에 도달하게 되고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남북 경제연합에 이르는 것이다. 남북 경제연합의 단계까지 진척되면, 거기서 한 걸음 나아가 정치적, 군사적 합의가 더해진다면 정치적 면에서의 남북 국가연합의 단계로 쉽게 이행될 수 있다. 6.15선언에서 밝혔던 통일방안으로 양정상이 합의했던 국가연합이나 낮은 단계의 연방제로, 통일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북한과의 관계 개선과 경제협력을 심화시켜 나가는 것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과도 병행이 된다. 참여정부를 생각해보면 된다. 참여정부 때 북한하고 관계 개선이 되는 만큼 중국하고 관계도 과거 어느 때보다 좋아졌다. 이명박 정부 들어 북한하고 관계가 파탄나면서 중국과의 외교관계도 크게 후퇴했다. 이명박 정부의 가장 큰 실책 중에 하나다. 경제적인 면에서 중국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중국과의 교역량이 미국과 일본과의 교역량을 합친 것보다 크고, 북한에 대한 영향력에서도 중국이 크다. 우리가 6자회담 때 북핵문제를 외교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 것도 중국과 잘 협조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잘 협조해 나가면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고 개혁, 개방으로 나아가고 국제사회로 이끌어낼 수 있다. 남북 경제연합은 중국과의 관계 발전과 함께 가는 것이라고 말씀드린다.
※ 첨부 : 남북경제연합 문재인 구상 전문.hwp